복리 계산기
투자 시작 금액(원)
연간 이자율을 퍼센트로 입력 (예: 10 -> 연 10%)
연 몇 번의 복리로 이자를 재투자할 것인지 (예: 12면 매월)
복리 횟수마다 추가로 입금할 금액 (입력 안할 시 0)
연간 인플레이션 비율. 실질가치 계산에 사용됩니다. (0 입력시 계산 안함)
주의: 복리계산은 단순 이자율 가정이므로, 실제 투자 상품(주식, 펀드, 예적금 등)에 따라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선물 청산 계산기 (롱/숏)

단순 아이솔레이티드 마진, 유지증거금/수수료 무시 가정하에 -100% 손실 도달 시점의 "가정된 청산가격"을 계산하는 매우 단순한 예시입니다.

포지션 개설 시 사용하는 자본금
BTC 선물이면 BTC 1개당 진입 가격, 등
예: BTC 0.5개, 혹은 ETH 10개, etc.
중요:
- 본 계산은 거래소별 현실적인 유지증거금(Maintenance Margin), 수수료, 펀딩비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 크로스 마진이 아닌 아이솔레이티드 마진으로, '-100% 손실 시점'이라는 극단적 단순 가정입니다.
- 실제 청산가격은 거래소 정책과 시장 상황, 추적 손절/자동디레버리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Sponsored

Tip & FAQ

사용 꿀팁

  • Ctrl + ↵ / ⌘ + ↵ – 아무 곳에 포커스가 있어도 복리 계산
  • Alt + L – 선물 청산가 계산기로 빠르게 이동
  • 원금·이자율·기간을 입력하고 Enter 를 누르면 즉시 그래프가 업데이트됩니다.
  • 추가 입금은 ‘복리 횟수’마다 정액 불입으로 누적 계산됩니다.
  • 인플레이션 비율을 넣으면 실질 가치(현재 가치 기준)도 함께 표시됩니다.
  • 최근 입력 값은 브라우저 localStorage에 저장돼 새로고침해도 유지됩니다.
복리 이자는 원금 + 지금까지의 이자에 다시 이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이자를 재투자하는 주기가 짧을수록 이자에 이자가 붙는 횟수가 늘어나며, 결과적으로 기하급수적인 성장 곡선이 나타납니다.
연 복리 횟수를 12(월), 추가 입금 항목에 300000을 입력하면 매월 30만 원씩 불입하는 시나리오로 계산됩니다.
입력한 인플레이션 비율 r% 를 사용해 실질 가치 = 미래가치 / (1+r)^t 로 환산합니다. 0 을 입력하면 인플레이션을 무시합니다.
본 계산기는 아이솔레이티드 마진 + 유지증거금·수수료 0% 라는 단순 가정으로 -100% 손실 시점을 계산합니다. 실제 거래소는 유지증거금(MM), 보험펀드, ADL, 펀딩비 등을 포함하므로 표시되는 청산 가격은 참고용 가상 값입니다.
투자 기간이 길거나 복리 횟수가 많으면 데이터 포인트가 수백 개로 늘어납니다. 5년 이하연 12회 이하 정도로 줄이면 그래프 렌더링이 훨씬 쾌적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