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유형 선택
SELECT 명령어 생성
SQL 생성 결과
SQL 명령어
생성된 SQL 명령어가 여기에 표시됩니다.
SQL 힌트 및 예제
유용한 SQL 명령어 예제
기본 조회 (SELECT)
SELECT * FROM users WHERE status = 'active' ORDER BY created_at DESC LIMIT 10;
집계 함수 사용
SELECT COUNT(*) as total, status FROM orders GROUP BY status HAVING COUNT(*) > 5;
다중 테이블 조인
SELECT u.name, o.order_id, p.product_name FROM users u JOIN orders o ON u.id = o.user_id JOIN order_items oi ON o.id = oi.order_id JOIN products p ON oi.product_id = p.id WHERE o.status = 'shipped';
SQL 성능 팁
- 필요한 컬럼만 선택하세요.
SELECT *
대신 구체적인 컬럼을 지정하세요. - WHERE 절에서 인덱스된 컬럼을 사용하면 쿼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 복잡한 쿼리는 서브쿼리 대신 JOIN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량의 결과를 반환할 때는 항상 LIMIT을 사용하세요.
- 트랜잭션 내에서 UPDATE/DELETE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Tip & FAQ
더미 데이터, 한 줄로 끝내기
INSERT ▶ 다중 레코드 모드로 전환한 뒤 <값>들을 줄바꿈만 해주면 한 번의 SQL로 수십 건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현재 MySQL/MariaDB,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SQLite 다섯 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방언별로 AUTO_INCREMENT, 따옴표(``"`` vs ````), 날짜-함수 등이 자동으로 맞춰집니다.
다중 행은
VALUES (...), (...), (...)
형태로 한 번에 여러 레코드를 넣어
네트워크 왕복을 줄입니다. 단, 일부 구버전 DB(특히 Oracle 11g 이하)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HERE가 없으면 모든 레코드가 영향을 받습니다.
“WHERE 절 누락 시 경고” 체크를 켜 두면 실수로 생성·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요.
컬럼 정의 뒤에
PRIMARY KEY
혹은
“제약사항” 영역에서 PRIMARY KEY (컬럼,…)
구문을 추가해 주세요.
복합 키도 쉼표로 나열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