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 생성

해시를 여러 번 반복해서 계산합니다. (기본 1회)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생성 결과
해시 검증

동일한 옵션(HMAC 키, Salt, 반복 횟수, 알고리즘, 대소문자 등)으로 해시를 재계산하여, 아래에 입력한 "검증 대상 해시"와 동일한지 비교합니다.


해시 함수란?

해시 함수는 임의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출력을 생성합니다.
  • 입력 데이터가 조금만 변경되어도 출력값은 크게 달라집니다.
  • 출력값에서 입력값을 역산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주요 용도: 파일 무결성 검사, 비밀번호 저장, 디지털 서명 등

참고: MD5와 SHA-1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중요한 보안 용도로는 SHA-256 이상의 알고리즘 사용을 권장합니다.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Tip & FAQ

가장 빠른 해시 계산

입력 영역에 포커스가 있을 때 Ctrl+Enter를 누르면 버튼 클릭 없이 바로 해시를 생성할 수 있어요.
파일은 **드래그&드롭**으로도 업로드 가능합니다.

브라우저 메모리 한계로 인해 10 MB 이하를 권장합니다. 그 이상은 탭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메모리 부족 경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 알고리즘은 충돌 공격이 실현된 상태라 “무결성 확인”엔 여전히 쓸 수 있지만, 암호학적 보안(전자서명, 패스워드 저장 등) 용도로는 부적절합니다. 최신 프로젝트라면 SHA-256 이상을 선택하세요.
  • Salt는 해시 대상마다 달라지는 임의 문자열로 무차별 대입 공격(레인보우 테이블)을 방어합니다.
  • HMAC은 별도의 비밀 키를 이용해 메시지 인증을 보장합니다. 같은 입력이라도 키가 다르면 해시가 달라집니다.
두 기능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반복 횟수(iterations)를 높이면 같은 데이터를 여러 번 다시 해시하여 계산량이 선형으로 증가합니다. 보안적으로는 좋지만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1,000회 이상이면 체감 지연이 크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네. 16진수 해시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표준에서는 소문자를 많이 쓰지만, 두 형식은 서로 완전히 동일한 값을 나타내므로 비교 시 대‧소문자를 맞추기만 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