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인코딩/디코딩
인코딩
디코딩
URL 분석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URL 인코딩이란?
URL 인코딩은 URL에서 특수 문자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URL은 ASCII 문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글이나 특수 문자 등은 %로 시작하는 16진수 코드로 변환해야 합니다.
인코딩 규칙
- 영문 알파벳, 숫자, 하이픈(-), 밑줄(_), 점(.), 물결(~)은 인코딩하지 않음
- 공백은 %20으로 인코딩 (+ 기호로 인코딩되기도 함)
- 특수 문자는 % 뒤에 16진수 코드를 붙여서 표현
- 한글 등 유니코드 문자는 UTF-8로 변환 후 각 바이트를 %XX 형식으로 인코딩
인코딩 예시
원본 | 인코딩 결과 |
---|---|
공백 | %20 |
! | %21 |
# | %23 |
& | %26 |
한글 | %ED%95%9C%EA%B8%80 |
인코딩이 필요한 경우
- URL에 한글 등 비 ASCII 문자를 포함할 때
- URL 쿼리 파라미터에 특수 문자가 포함될 때 (예: ?search=keyword&filter=value)
- HTML 폼 데이터를 GET 방식으로 전송할 때
- Ajax 요청의 파라미터로 사용될 때
Sponsored
여기에 광고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Tip & FAQ
사용 꿀팁
- Ctrl + ↵ 또는 ⌘ + ↵ – 입력창에서 바로 실행
- Alt + S – “결과로 바꾸기” 단축키
- 인코딩 ↔ 디코딩 탭 전환 시 입력·결과 내용이 유지됩니다.
- URL 분석 모드에선 파라미터 이름을 클릭하면 값이 자동 복사됩니다.
- 대용량(10 KB+) 텍스트는 스트리밍 처리로 브라우저 멈춤 없이 변환됩니다.
encodeURI는 URL 전체용으로
encodeURIComponent는 쿼리값·파라미터처럼 부분 문자열을 인코딩하며 구조 문자도 변환합니다.
/ : ? & #
등 구조 문자를 그대로 두고,encodeURIComponent는 쿼리값·파라미터처럼 부분 문자열을 인코딩하며 구조 문자도 변환합니다.
원본이 UTF-8이 아닌 EUC-KR 등으로 인코딩된 경우일 수 있습니다.
현재 도구는 UTF-8만 지원합니다. 서버에서
현재 도구는 UTF-8만 지원합니다. 서버에서
encodeURIComponent
로 변환하도록 권장합니다.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방식(HTML 폼 등)에서는 공백이 +
로
바뀝니다.본 도구도 “디코딩” 시
+
→ 공백을 자동 처리합니다.
각 URL을 줄바꿈으로 구분해 입력하면 행 단위로 일괄 인코딩/디코딩됩니다.
결과도 동일한 줄 수로 반환됩니다.
결과도 동일한 줄 수로 반환됩니다.
분석 모드는
상대 경로나 프로토콜이 없는 문자열은 먼저 완전한 URL 형태로 입력하세요.
http(s)://
로 시작하는 완전한 URL만 파싱합니다.상대 경로나 프로토콜이 없는 문자열은 먼저 완전한 URL 형태로 입력하세요.